25년 중복은 7월 30일, 말복은 8월 9일입니다. 삼복더위의 유래와 의미, 복날 보양식 풍습까지 한눈에 정리해 보겠습니다.
올해 삼복날은 언제일까요?
복날은 매년 음력과 절기에 따라 날짜가 달라지며, 2025년에는 삼복이 여름 무더위 한가운데에 몰려 있습니다.
- 초복: 7월 20일 (일요일)
- 중복: 7월 30일 (수요일)
- 말복: 8월 9일 (토요일)
특히 2025년 중복은 7월 30일 수요일, 말복은 8월 9일 토요일로 주중과 주말에 걸쳐 있어 가족과 함께 보양식을 즐기기 좋은 일정입니다.
삼복날, 왜 매년 날짜가 바뀔까?
삼복은 단순히 7월, 8월의 더운 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십간(十干)**이라는 음력의 천간 체계와 절기를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 초복: 하지 이후 세 번째 경일(庚日)
- 중복: 하지 이후 네 번째 경일
- 말복: 입추 후 첫 번째 경일
‘경(庚)’은 음양오행에서 금(金)에 해당하며, 여름의 불기운(화火)을 누르고자 정한 날입니다. 즉, 삼복은 무더운 여름철에 기운을 다스리는 음양철학적 개념에서 출발한 풍속입니다.
중복과 말복의 뜻과 전통적 의미
복(伏)자는 '엎드릴 복(伏)' 자를 씁니다. 이는 사람이 더위에 '복종'하여 엎드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중복과 말복은 초복과 함께 한 해 중 가장 무더운 시기인 '삼복'을 구성합니다.
이 기간 동안 날씨는 덥고 습하며, 체력은 쉽게 떨어지고, 면역력은 저하되기 쉬운 시기입니다. 그래서 예로부터 삼복 기간에는 몸을 보양하고 기운을 북돋는 풍습이 전해졌습니다.
간편하게 즐기는 여름철 건강음식 10분 완성! - 후스토리
여름이 되면 식욕은 떨어지는데 몸은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높은 기온과 습도로 인해 체력 소모가 크지만, 정작 제대로 된 식사를 챙기기는 어려워지죠. 오늘은 바쁜 일상 속에서도
hu.ohmylife.kr
중복과 말복에 하는 일: 보양과 휴식의 풍습
삼복날에는 건강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풍습이 있습니다. 지금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이 시기를 특별하게 보내고 있죠.
중복과 말복에는 다음과 같은 보양식을 즐기는 풍습이 있습니다.
- 삼계탕: 닭고기와 인삼, 마늘 등을 넣어 기운을 보충
- 장어구이: 스태미나 강화
- 팥죽: 액운을 막는 의미
- 수박, 참외 등 수분 많은 과일
예전에는 계곡이나 강가에서 발을 담그며 더위를 피했습니다. 이를 **탁족(濯足)**이라 하며, 무더위를 식히고 피로를 푸는 여름철 대표 풍습이었습니다.
2025년 중복과 말복, 이렇게 보내보세요
올해는 중복(7월 30일 수요일)과 말복(8월 9일 토요일)이 각각 평일과 주말에 걸쳐 있습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계획을 세워보면 좋습니다.
- 중복: 평일 점심시간에 직장 동료와 삼계탕 한 그릇
- 말복: 주말 가족 나들이 겸 보양식 식사, 계곡이나 워터파크 방문
더위를 이기기 위해 무리하게 에어컨을 트는 것보다, 몸 안의 기운을 보충하는 방식으로 건강하게 여름을 보내는 것도 방법입니다.
마무리하며
복날은 건강을 챙기고 계절의 리듬을 함께하는 전통의 시간입니다. 특히 중복은 7월 30일(수), 말복은 8월 9일(토)이니, 이 시기를 기억하고 보양식 한 끼로 몸과 마음 모두 재충전해보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