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하철 요금 인상 예정, 시민들에게 미칠 영향은?

by 정브리 2025. 4. 22.

지하철 요금 인상 예정, 시민들에게 미칠 영향은?

 

2025년 6월, 지하철 기본요금 150원 인상 예정

 

오는 2025년 6월 중,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경기·인천) 지역의 지하철 기본요금이 현행 1,400원에서 1,550원으로 150원 인상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요금 인상안은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그리고 코레일 간의 정책 협의를 거쳐 이달 말 최종 확정될 예정이며, 현재로서는 6월 말 시행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입니다.

 

 

 

요금 인상 배경: 운영 적자와 비용 상승

 

이번 인상의 주요 배경은 서울교통공사를 비롯한 지하철 운영기관들의 심각한 재정난입니다. 서울교통공사의 누적 적자는 2025년 기준 약 19조 원에 이르고 있으며, 한 명의 승객이 지하철을 이용할 때마다 평균적으로 약 858원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요금 등 주요 운영비의 급등으로 인해 지하철 부채는 7조 3천억 원을 넘어섰고, 매일 발생하는 이자 비용만 3억 원 이상에 달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안정적인 대중교통 운영을 위한 요금 조정은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입장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최근 요금 변동 흐름

이번 요금 인상은 지난 2023년 10월의 인상에 이어 약 1년 8개월 만에 다시 추진되는 조치입니다. 당시 기본요금은 1,250원에서 1,400원으로 150원 인상된 바 있으며, 이번 인상 또한 동일한 폭으로 적용됩니다.

 

 

최근 지하철 요금 변동 내역
시점 기본요금 인상폭
2023년 10월 1,250원 → 1,400원 +150원
2025년 6월 예정 1,400원 → 1,550원 +150원

 

정책 추진 절차 및 향후 일정

현재 경기도의회는 150원 인상안을 이미 통과시킨 상태이며, 이후 경기도 소비자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서울시·경기도·인천시 및 코레일 간 최종 정책 협의가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서울시는 행정 절차가 완료되는 즉시 요금 인상을 위한 시스템 점검 및 안내 절차를 시작하고, 6월 말까지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의 반응과 생활비 영향

성인 기준으로 왕복 요금이 3,100원을 초과하게 됨에 따라, 시민들의 교통비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출퇴근 및 통학 등으로 지하철을 매일 이용하는 시민들의 경우, 월평균 수천 원에서 많게는 수만 원까지 지출이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반면, 운영 기관들은 지속적인 적자 구조를 개선하지 않으면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며, 요금 인상 외에는 대안이 부족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맺음말

수도권 지하철 요금 인상은 단순한 가격 조정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공공 교통의 지속 가능성과 시민 부담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것이 핵심 과제입니다. 앞으로도 정책 결정 과정과 시행 이후의 영향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