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K-푸드 세계화 현황과 전망

by 정브리 2025. 8. 18.
반응형

 

 

 

2025년 현재 K-푸드는 라면, 김치, 소스, 간편식(HMR), 음료, 스낵 등 다양한 품목이 K-팝, K-드라마, 먹방 콘텐츠와 함께 전 세계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특히 SNS와 유튜브를 통한 노출 효과가 더해지며, 한국 음식은 더 이상 이색적인 음식이 아닌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K푸드 이미지들
CJ제일제당 출처



 

K-푸드 수출 성장

2025년 상반기 K-푸드 플러스(K-Food+) 수출액(잠정)은 66.7억 달러로 전년 대비 7.1%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라면, 김치, 과자류 등 14개 주요 품목에서 역대 최고 수출액을 달성했으며, 미국·중국·동남아시아·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대표 성공 사례

  • 삼양 불닭볶음면: 북미·유럽·아시아 전역에서 한류 먹거리의 대표로 부상
  • 농심 신라면: 미국, 멕시코, 텍사스 등지에서 연평균 12% 성장
  • CJ제일제당 비비고: 냉동김밥·떡볶이 등으로 미국, 유럽 시장 점유율 확대


 

롯데리아의 반전 스토리: 일본 태생, 한국 브랜드로 미국까지

롯데리아는 일본브랜드? 한국브랜드? 궁금해서 알아봤습니다. 1972년 일본 도쿄 니혼바시 다카시마야 백화점에 1호점을 열며 패스트푸드 사업을 시작한 이후 1979년, 롯데그룹이 한국에 롯데리아

hu.decogray.kr

 

2025년 K-푸드 글로벌 사례

1. 미국 뉴저지 ‘투박스 치킨’ 진출

2025년 4월, 한국식 프라이드 치킨 전문점 투박스 치킨이 미국 뉴저지에 첫 매장을 오픈했습니다. 오픈 직후 200박스 한정 상품 완판을 기록했으며, 한국식 양념치킨과 떡볶이 등 분식 메뉴까지 선보여 호평을 받았습니다.

2. 미국에서 품절 사태 난 ‘냉동 김밥’

미국 유명 마트에서는 냉동 김밥이 SNS를 통해 화제가 되며 연일 품절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간편 조리 가능성과 한류 열풍이 결합해 현지 젊은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았습니다.

3. 베트남 호찌민 ‘인생 비타민’ 팝업스토어

2025년 4월~5월, K-헬스케어 브랜드 인생 비타민은 베트남 호찌민에서 체험형 팝업스토어를 운영하며 현지 MZ세대의 큰 호응을 이끌어냈습니다. 건강 프로그램, 시식 행사, SNS 인증 이벤트를 통해 K-푸드와 K-헬스케어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4. 서울 국제 식품 박람회

2025년 서울 국제 식품 박람회에는 45개국, 300개 해외 바이어가 참여했습니다. 김부각, 삼각김밥, 떡볶이 등 다양한 K-푸드가 소개되며 총 2억 달러 규모의 상담·계약이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개별 포장김밥, 건강 간편식은 일본과 미국 바이어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습니다.



결론

K-푸드는 한류와 혁신, 현지화 전략을 바탕으로 세계 식품 시장의 핵심 플레이어로 성장 중입니다. 앞으로도 고부가가치 상품 개발, 친환경·지속가능 경영, 현지 맞춤 전략을 통해 글로벌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

 

 

 

반응형